Tiny Star

2025/04 22

어떤 프로젝트를 하면 좋을까?

환경 관련된 프로젝트를 만들고 싶은데, 너무 막연해서 어떻게 데이터를 활용해야할지 모르겠다. 1. 한국환경공단 탄소중립포인트 API'한국환경공단'에서 제공하는 탄소중립포인트를 참여중인 시설과 참여자 현황을 알 수 있는 API 3가지가 있다. 한국환경공단_탄소중립포인트 에너지 참여현황 통계 한국환경공단_탄소중립포인트 에너지 상업시설 확인 한국환경공단_탄소중립포인트 에너지 사용량 정보 참여현황 통계기초단체별/광역시도별 월별 참여율(참여가구수)상업시설 확인특정 사업장의 에너지 상업시설 확인사용량 정보지자체별 연 가스/수도/전기 사용량 전체 상업시설 리스트들의 에너지 사용량을 체크할 수 있는 서비스였으면 했는데 전혀 다른 API인 것 같다.상업시설 확인의 경우 주소와 사업장명이 필수 파라미터로 들어가야..

프로젝트/환경 2025.04.22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 1장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1장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한 명의 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시작으로 몇백만 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까지 설계해보자. 1. 단일 서버웹 앱, 데이터베이스, 캐시 등 전부 서버 한 대에서 실행 2. 데이터베이스사용자가 늘면 웹/모바일 트래픽 처리 서버(웹 계층)와 데이터베이스 서버(데이터 계층)를 분리하면 그 각각을 독립적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다. 대부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최선이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바람직할 수도 있다.아주 낮은 응답 지연시간(latency)이 요구됨다루는 데이터가 비정헝*unstructured)이라 관계형 데이터가 아님데이터(JSON, YAML, XML 등)를 직렬화하거나(serialize) 역직렬화(deseria..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