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고민에서 구성했던 페이지에서 변경이 있다.
- 추가할 페이지
- RFID 통계
- 품종 분포도 -> 지역별 대표 품종과 겹치므로 제거
- New! 연도별 등록 추이
- 소개
나머지 페이지는 기존이랑 큰 차이가 없어서 어제 새벽에 한 페이지, 방금 남은 작업을 끝냈다.
최종 페이지
소개
우리 지역 견종과 묘종은?
RFID 비율
연도별 등록 추이
github code 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간단한 프로젝트를 끝내며
그다지 어려운 프로젝트가 아니었다. 오히려 쉬웠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쉬운 프로젝트를 뭐하러 하냐고 할 수 있다.
실무에서 썼던 툴은 잘 다룬다고 할 수 있지만, 다르게보면 다른 툴은 못한다라고 볼 수 있다.
MyBatis 대신 JPA를 사용하고, JPA 속에서 복잡한 쿼리를 어떻게 할지 고민하다가 QueryDsl도 사용해봤다.
Thymeleaf 대신 Mustache를 사용해봤고, 어느정도 프론트에서 가공해서 쓰던 데이터를 오로지 백엔드에서 다 가공해서 전달해줬다. 타임리프에 이어 정적인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면서 프론트 라이브러리의 필요성을 더더욱 느끼게 됐다.
내가 초기에 생각했던 기획(이라기엔 부족하지만)과는 전혀 다르게 흘러가는 것을 보며, 기획의 중요성을 느끼게됐고 어떤 툴을 쓰고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좀 더 명확하게 정하고 실행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초기 세팅이 오래걸렸을 뿐, 만약 이게 실무라면 하루에 다 만들 수 있었을 것이다.
여러 프로젝트를 해보면서 초기 세팅도 빠르게 할 수 있게 되고 싶다.
아직 갈 길이 멀다 계속 해보자!
'프로젝트 >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 프로젝트] 백엔드 수정 (SpringCache) (3) | 2025.04.25 |
---|---|
[반려동물 프로젝트] 프론트 구현 (Mustache) (0) | 2025.04.25 |
[반려동물 프로젝트] 백엔드 구현 (QueryDSL) (3) | 2025.04.24 |
[반려동물 프로젝트] DB 구성 (JPA, Python) (0) | 2025.04.24 |
[반려동물 프로젝트] 데이터 활용 고민 (0) | 2025.04.24 |